<민주, 호남권 공천면접 `후끈'>

(서울=연합뉴스) 류지복 기자 = "선풍기 좀 가져오세요".

통합민주당 공천심사위원회가 공휴일인 1일 4.9총선 공천 신청자에 대한 닷새째 면접을 실시하던 도중 한 공심위원이 난데없이 선풍기를 요청했다.

11명의 공심위원이 5평 남짓한 공간에 빼곡히 자리를 채운 가운데 진행된 이날 면접장의 뜨거운 열기를 단적으로 보여준 말이었다. 특히 이날은 민주당의 초강세 지역인 호남권 신청자에 대한 첫 면접이 실시된 탓인지 분위기는 후끈 달아올랐다.

전국 평균 2대1을 훌쩍 뛰어넘는 6.5대 1의 호남권 공천경쟁률이 보여주듯 `공천이 곧 당선'이란 등식이 성립하는 지역이란 판단 때문에 면접장 주변은 팽팽한 긴장감이 감돌았다. 장관, 의원, 구청장 출신 등 쟁쟁한 인사들로 면접장은 북적거렸다.

한 후보는 "너무 긴장해 긴장 안한 것처럼 위장하기도 힘들다"고 말했고, 또 다른 후보는 "모두 장관, 구청장, 의원 출신인데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다"고 걱정을 털어놓기도 했다.

실제 면접도 깐깐하고 공격적인 분위기 속에서 진행됐다. 공심위원들은 사전에 해당 후보의 이력을 꼼꼼히 살핀 듯 예사롭지 않은 질문을 툭툭 던지며 후보들을 곤혹스럽게 했다.

광주 동구가 대표적인 예. 박주선 후보에 대해 "서울시장 후보로 출마했었는데 왜 광주 지역구를 선택했는가"라는 질문이 나왔고, 현역 의원인 양형일 후보에 대해서는 "조선대가 로스쿨 선정대학에서 탈락한 이후 지지도가 떨어졌다는데 상황이 어떤가"라고 묻기도 했다.

박재승 공심위원장은 박 후보에 대한 면접에서 "박상천 공동대표가 민주당의 현역의원이 있는데도 고향이라는 이유로 전남 고흥.보성에 출마한 것을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묻기도 했다. 듣기에 따라 박 공동대표의 선택에 대한 불편함을 표시한 것으로 해석될 여지도 있는 대목이었다.

광주 서구갑에 대한 면접도 `까칠하게' 진행됐다. 대변인인 유종필 후보자는 "대변인을 맡으면서 강한 표현을 많이 쓴 것 같다"는 지적이 나오자 "소수당을 대변하니까 부득이한 측면이 있었다. 이제는 대변인이 아니라 국회 본회의장에서 `본변인'을 하게 해달라"며 넘어갔다.

국무조정실장을 지낸 조영택 후보자에 대해서는 "일각에서는 참여정부 386 실세들의 도움을 받았다는 말이 있는데 사실이냐"고 물었고, 조 후보자는 "전혀 상관이 없는 얘기다. 고 건 전 총리의 거듭된 요청으로 총리실에 들어갔다"고 적극 해명했다.

면접을 마친 후보자들의 표정은 한결같이 딱딱하게 굳어있었다. 한 후보는 "40년 만에 다시 본 면접이었다. 예리한 질문이 상당히 많았다"고 소감을 밝혔고, 또다른 후보는 "예전에 내가 면접관을 맡았을 때 잘해줄걸 하는 생각도 든다"고 현장 분위기를 전했다. 한 후보는 "2분만에 면접이 끝났다"며 아쉬움을 보이기도 했다.

어려움을 토로하는 것은 공심위원들도 마찬가지였다. 최인기 공심위원은 "유능하고 능력있는 분들이 몰려있어 판단하기 쉽지 않다"며 "호남과 달리 서울에는 상대적으로 인재풀이 없어 아쉽다"고 말했다. 또다른 공심위원은 "말 그대로 용호상박"이라며 "이런 분위기라면 경선 지역이 속출할 수도 있을 것 같다"고 전했다.

공심위는 이날 광주에 이어 2일 전남, 3일 전북을 끝으로 일주일간의 후보 면접을 모두 마친다.

jbryoo@yna.co.kr

(끝)


http://news.media.daum.net/politics/assembly/200803/01/yonhap/v20175907.html
블로그 이미지

알 수 없는 사용자

jeju taxi tour, taxi in jeju

,
[김종배의 it] '총리 인준' 버리고 '장관 보이콧' 택한 까닭은?

얽히고설킨 것 같지만 그렇지가 않다. 잘 보면 보인다. 실마리가 나와 있고 가닥이 잡혀있다. 총리 인준·장관 인사청문 방향은 이미 잡혀 있다.
 
  이렇게 질문을 던지면 상황이 한결 간명해질 것이다. 통합민주당은 왜 총리 인준 표결에 불참하려 하지 않는가?
 
  통합민주당이 한승수 총리 인준을 거부할 요량이라면 이것처럼 확실한 방법은 없다. 그런데도 인준 표결 불참은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
 
  이 대목에서 결론은 나온 것이나 진배없다. 인준안은 가결될 공산이 크다.
 
  총리 인준은 정국 변수 아니다
 
  통합민주당의 의석은 141석이다. 여기에 한승수 총리 후보자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내놓은 민노당의 의석 9석을 더해도 겨우 150석이다. 과반수를 가까스로 넘기는 의석이다.
 
  이 의석을 믿고 인준안 부결을 '강제 당론'으로 정해 밀어붙이는 건 무리다. 그랬다가 한두 명의 의원이 '반란표'를 던지면 통합민주당은 참화를 면치 못한다.
 
  '권고 당론'이나 '자유 투표'냐는 중요한 문제가 아니다. 둘 중 어느 것이든 강제성이 없다. 거꾸로 말하면 '반란표'의 가능성을 인정한다는 얘기이고, 인준안 가결을 감수할 수 있다는 얘기다. 총리 인준 문제는 더 이상 정국 향배를 좌우하는 관건이 아니다.
  
▲ ⓒ 연합

  통합민주당이 남주홍 통일부 장관 후보자와 박은경 환경부 장관 후보자의 인사 청문회를 보이콧하기로 한 점도 이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총리 인준을 묵인 또는 방조하면 바람막이를 확보하게 된다. 극단적 발목잡기라는 역풍을 막아내는 바람막이다.
 
  바람을 차단하면 불을 지피는 데 한결 수월하다. 불을 지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래오래 불놀이를 할 수 있다.
 
  장관은 인준할 수 없다. 인사청문회를 연 다음에 의견을 표명할 수 있을 뿐이다. 장관 후보자의 꼬리표를 뗄지 말지는 전적으로 인사권자인 대통령의 몫이다. 통합민주당이 두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보이콧하기로 한 건 바로 이 점을 겨냥한 것이다. 화력을 집중하고 지구전을 펴기 위함이다.
 
  남주홍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실시할 통일외교통상위는 통합민주당 의원이 위원장을 맡고 있다. 한나라당이 단독으로 인사청문회를 열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그렇다고 한나라당 의원이 위원장을 맡고 있는 환경노동위만 나서 박은경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열기도 쉽지 않다. 그 순간 한나라당은 '독주 여당'이 된다. 인사절차도 꼬인다. 박은경 후보자의 꼬리표는 떼주고 남주홍 후보자의 꼬리표는 계속 놔두는 건 모양새가 좋지 않다.
 
  인사청문회 개최를 두고 두 당이 대치전선을 형성하면, 그리고 이 대치전선이 장기화되면 통합민주당에게 득이 된다. 총선에 유리한 소재를 계속 이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보다 못한 이명박 대통령이 임명을 강행하더라도 통합민주당은 밑질 게 없다. 이명박 대통령의 독선과 독주를 부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또한 총선용으로 안성맞춤이다. 정반대의 경우, 즉 이명박 대통령이 전격적으로 두 후보자를 낙마시켜도 문제될 게 없다. 그러면 통합민주당은 사실상 '승리'를 선언하고 정국의 고삐를 쥐게 된다.
 
  민주당은 꽃놀이패 쥐고, 대통령은 폭탄 떠안고
 
  통합민주당은 꽃놀이패를 쥐고 있다. 총리 인준을 버리고 장관 인사청문회 보이콧을 취함으로써 상대가 어떤 패를 꺼내도 느긋할 수 있는 판을 조성한 것이다.
 
  거꾸로 이명박 대통령은 난감하게 됐다. 폭탄을 넘겨받은 상황이다. 어떤 묘수를 짜내도 유탄을 피하기가 쉽지 않다.
 
  어차피 최선책은 없다. 차선책을 택할 수밖에 없다. 국회 대치상황을 지켜보다가 적당한 시점에 발을 빼는 게 그나마 나은 수다. 허송세월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대승적 차원에서 장관 후보자 교체를 단행한다고 포장하는 게 지금 상황에서 강구할 수 있는 차선책이다.
 
  시점은 조율할 필요가 있다. 먼저 나설 필요는 없다. 가급적 늦게, 즉 통합민주당이 두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무산시킨 후에 택일하는 게 좋다. 그래야 통합민주당의 발목잡기에 애간장을 녹이다가 어쩔 수 없이 후퇴하는 모양새를 보일 수 있다. 그래야 후퇴 결정에 '고뇌'의 흔적을 새길 수 있다.
 
  청와대에서 인사 청문회를 본 다음에 두 후보자의 거취를 결정하겠다는 말이 흘러나오는 점을 유념해서 봐야 하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이 글은 김종배의 뉴스블로그 '토씨(www.tosee.kr)'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김종배/시사평론가
http://www.pressian.com/scripts/section/article.asp?article_num=60080226093439
블로그 이미지

알 수 없는 사용자

jeju taxi tour, taxi in jeju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