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서프라이즈 김재훈 기자] “창조한국당이 지난 17대 대선 당시 사용한 74억원 가운데 62억원을 문국현 당 대표에게서 차입한 것은 ‘자연채무형식’이다.”
창조한국당이 벌집을 쑤셔놓은 분위기다. 당의 존립 위기까지 거론되고 있다. 최근 복수의 언론을 통해 지난 대선당시 당이 상당수 대선자금을 문 대표에게 차입한 것으로 보도됐기 때문이다.
대선 과정에서 자금난에 시달리던 당이 문 대표에게서 수십억원을 빌렸다는 것.
바꿔 말해 ‘창조한국당’이라는 간판을 달고 대선후보로 나섰던 당시 문 후보가 자신의 홍보를 위해 쓸 돈을 자신에게서 빌려 쓴 상식 밖의 상황이 벌어졌다는 내용을 주로 담고있다.
“악의적인 보도들이 넘쳐나고 있다”
지난 대선 직후 창조한국당은 지난 대선 때 당비로 사용한 74억원 가운데 42억원을 문 대표에게서 차입한 것으로 회계처리 했다. 당초 62억원을 차입했으나 이후 문 대표가 20억원을 특별당비로 처리, 42억원이 차입금으로 현재 남아있는 상태다.
이는 문 대표가 돈 한 푼 안들이고 선거를 치른 것도 모자라 오히려 당에 빌려준 돈을 받아야 하는 뉘앙스를 강하게 풍기고 있다. 때문에 소문이 사실로 드러날 시 문 대표는 도덕성에 치명타를 입게 되는 것은 물론 크게는 정치 생명까지도 직결돼 있어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그런 가운데 김동규 창조한국당 대변인은 25일 기자와의 전화에서 “악의적인 보도들이 넘쳐나고 있다”며 강한 불쾌감을 표시했다.
김 대변인은 우선 ‘62억 차입금’과 관련 “일반적인 채무형식과 다르다. 문 대표에게서 차입한 돈은 ‘자연채무형식’을 빌린 것”이라고 강조했다.
‘자연채무형식’이란 채무자가 채무를 이행하지 않은 경우에도 채권자가 그 이행을 소(訴)로써 청구하지 못하는 채무를 뜻한다. 문 대표에게서 당이 돈을 빌려 쓴 형식을 취하고 있지만 당이 돈을 갚지 않아도 문 대표가 법적인 문제제기를 할 수 없다는 것.
이와 관련 김 대변인은 “문 대표는 대선자금 지출이 시작될 때 믿고 맡길 수 있는 회계책임자에게 모든 권한을 위임하며 ‘문제없이 처리하라’고 했다”며 “‘자연채무형식’을 선택한 것 역시 권한을 위임받은 회계책임자의 판단이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문 대표는 이러한 사실을 대선 이후 당 중앙위원회에서 보고를 받은 뒤 인지했다. 차입의 형식이라는 것도 이때 알았다”며 “자신의 생각과 다르다는 것을 안 문 대표는 (지출된) 선거 비용을 스스로 부담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고 주장했다.
다시 말해 문 대표는 당에서 필요로 하는 자금을 자비로 충당한 것은 맞지만 이것이 차입의 형식인지 사전에 알지 못했다는 설명. 이는 문 대표 스스로 차입금으로 전환했다는 일부 언론 보도를 정면으로 뒤집는 대목이다.
김 대변인 역시 이를 두고 “완전한 오보 투성이”라며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다.
뒤이어 김 대변인은 20억원 특별당비 처리에 대해 “전재경 당 최고위원의 해법이며 문 대표에게 어드바이스한 것”이라고 소개한 뒤 “공당의 입장에서 대선비용 전액을 문 대표에게 부담시킬 수 없다는 의견이 최고위원들 사이에서 나온 결과”라고 설명했다.
풀이하면 총 선거비용 74억원 중 62억원을 문 대표에게 ‘자연채무형식’으로 차입, 그중 20억원을 문 대표가 특별당비로 냈으므로 결과적으로 42억원이 차입금으로 남아있는 상태다.
하지만 이 42억원 역시 ‘자연채무형식’인 까닭에 문 대표에게 법적 지급책임이 없음은 물론 실제 지급된다 하더라고 20억원 정도일 것이라는 김 대변인의 의견이다. 이유는 세금.
“당이 밸런스를 찾아가는 과정”
김 대변인은 “문 대표가 (보유하고 있던 자산을) 64억 현금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상당한 세금이 발생됐다. 세금만 14, 15억여원 이상 될 것”이라며 “42억원을 돌려받는다는 가정 하에 여기에서 발생되는 세금까지 포함, 이를 제외하면 결과적으로 20억원 정도를 문 대표가 돌려받게된다”고 셈했다.
김 대변인의 주장은 같은 날 창조한국당이 배포, 선거비용과 관련 당 최고위원들의 의견을 담은 것으로 알려진 보도자료에서도 나타난다. 당초 국회에서 기자회견이 예정돼 있었으나 회견자의 피치 못할 개인사정으로 보도자료로 대신했다는 김 대변인의 설명이다.
이 자료에는 “문 후보는 선거비용 전액을 부담하겠다는 뜻을 비쳤지만, 창조한국당이 공당으로서 선거비용 대부분을 후보 개인에게만 의존하는 것이 도대체 타당한 것인지 이견이 있다”고 기술돼 있다.
김 대변인은 이러한 모든 상황들을 두고 “당이 밸런스를 찾아가는 과정”으로 해석했다.
같은 맥락에서 정범구 당 최고위원은 24일 CBS ‘뉴스레이다’와의 인터뷰를 통해 “창조한국당은 대선 전 문국현 후보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정치세력, 즉 ‘문국현 팬클럽’ 성격이 강했다”며 “현재 ‘사당’이 아닌 ‘공당’으로 가는 방법에 대한 여러 가지 내부 논의가 있다”고 언급, 이를 뒷받침했다.
창조한국당이 벌집을 쑤셔놓은 분위기다. 당의 존립 위기까지 거론되고 있다. 최근 복수의 언론을 통해 지난 대선당시 당이 상당수 대선자금을 문 대표에게 차입한 것으로 보도됐기 때문이다.
대선 과정에서 자금난에 시달리던 당이 문 대표에게서 수십억원을 빌렸다는 것.
바꿔 말해 ‘창조한국당’이라는 간판을 달고 대선후보로 나섰던 당시 문 후보가 자신의 홍보를 위해 쓸 돈을 자신에게서 빌려 쓴 상식 밖의 상황이 벌어졌다는 내용을 주로 담고있다.
“악의적인 보도들이 넘쳐나고 있다”
![]() |
▲ 문국현 창조한국당 대표 (자료사진) ⓒ2008 데일리서프라이즈 |
이는 문 대표가 돈 한 푼 안들이고 선거를 치른 것도 모자라 오히려 당에 빌려준 돈을 받아야 하는 뉘앙스를 강하게 풍기고 있다. 때문에 소문이 사실로 드러날 시 문 대표는 도덕성에 치명타를 입게 되는 것은 물론 크게는 정치 생명까지도 직결돼 있어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그런 가운데 김동규 창조한국당 대변인은 25일 기자와의 전화에서 “악의적인 보도들이 넘쳐나고 있다”며 강한 불쾌감을 표시했다.
김 대변인은 우선 ‘62억 차입금’과 관련 “일반적인 채무형식과 다르다. 문 대표에게서 차입한 돈은 ‘자연채무형식’을 빌린 것”이라고 강조했다.
‘자연채무형식’이란 채무자가 채무를 이행하지 않은 경우에도 채권자가 그 이행을 소(訴)로써 청구하지 못하는 채무를 뜻한다. 문 대표에게서 당이 돈을 빌려 쓴 형식을 취하고 있지만 당이 돈을 갚지 않아도 문 대표가 법적인 문제제기를 할 수 없다는 것.
이와 관련 김 대변인은 “문 대표는 대선자금 지출이 시작될 때 믿고 맡길 수 있는 회계책임자에게 모든 권한을 위임하며 ‘문제없이 처리하라’고 했다”며 “‘자연채무형식’을 선택한 것 역시 권한을 위임받은 회계책임자의 판단이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문 대표는 이러한 사실을 대선 이후 당 중앙위원회에서 보고를 받은 뒤 인지했다. 차입의 형식이라는 것도 이때 알았다”며 “자신의 생각과 다르다는 것을 안 문 대표는 (지출된) 선거 비용을 스스로 부담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고 주장했다.
다시 말해 문 대표는 당에서 필요로 하는 자금을 자비로 충당한 것은 맞지만 이것이 차입의 형식인지 사전에 알지 못했다는 설명. 이는 문 대표 스스로 차입금으로 전환했다는 일부 언론 보도를 정면으로 뒤집는 대목이다.
김 대변인 역시 이를 두고 “완전한 오보 투성이”라며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다.
뒤이어 김 대변인은 20억원 특별당비 처리에 대해 “전재경 당 최고위원의 해법이며 문 대표에게 어드바이스한 것”이라고 소개한 뒤 “공당의 입장에서 대선비용 전액을 문 대표에게 부담시킬 수 없다는 의견이 최고위원들 사이에서 나온 결과”라고 설명했다.
풀이하면 총 선거비용 74억원 중 62억원을 문 대표에게 ‘자연채무형식’으로 차입, 그중 20억원을 문 대표가 특별당비로 냈으므로 결과적으로 42억원이 차입금으로 남아있는 상태다.
하지만 이 42억원 역시 ‘자연채무형식’인 까닭에 문 대표에게 법적 지급책임이 없음은 물론 실제 지급된다 하더라고 20억원 정도일 것이라는 김 대변인의 의견이다. 이유는 세금.
“당이 밸런스를 찾아가는 과정”
김 대변인은 “문 대표가 (보유하고 있던 자산을) 64억 현금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상당한 세금이 발생됐다. 세금만 14, 15억여원 이상 될 것”이라며 “42억원을 돌려받는다는 가정 하에 여기에서 발생되는 세금까지 포함, 이를 제외하면 결과적으로 20억원 정도를 문 대표가 돌려받게된다”고 셈했다.
김 대변인의 주장은 같은 날 창조한국당이 배포, 선거비용과 관련 당 최고위원들의 의견을 담은 것으로 알려진 보도자료에서도 나타난다. 당초 국회에서 기자회견이 예정돼 있었으나 회견자의 피치 못할 개인사정으로 보도자료로 대신했다는 김 대변인의 설명이다.
이 자료에는 “문 후보는 선거비용 전액을 부담하겠다는 뜻을 비쳤지만, 창조한국당이 공당으로서 선거비용 대부분을 후보 개인에게만 의존하는 것이 도대체 타당한 것인지 이견이 있다”고 기술돼 있다.
김 대변인은 이러한 모든 상황들을 두고 “당이 밸런스를 찾아가는 과정”으로 해석했다.
같은 맥락에서 정범구 당 최고위원은 24일 CBS ‘뉴스레이다’와의 인터뷰를 통해 “창조한국당은 대선 전 문국현 후보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정치세력, 즉 ‘문국현 팬클럽’ 성격이 강했다”며 “현재 ‘사당’이 아닌 ‘공당’으로 가는 방법에 대한 여러 가지 내부 논의가 있다”고 언급, 이를 뒷받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