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로 그렇게 착각하는 사람들이 몇명이나 되는지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지만, 마치 블로고스피어가 언론의 대안이라는 듯이 주장하는 분위기를 감지한다. 그러나 딱 잘라 말하자면, 블로고스피어는 언론의 대안이 아니다.
블로거들의 낚시를 얘기해봤자 기자들도 거짓말쟁이가 아니냐고 반문할 테니 정보의 진실성에 대한 얘기는 하지 않겠다. 다만 어떤 종류의 언론을 보더라도, 그 언론의 지향점에 대한 이해가 있다면, 그 언론을 통해 사회의 많은 부분에 대한 정보를 대단히 정확하게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은 지적되어야 한다. 가령 거짓말쟁이 조선일보라도, 사악한 중앙일보라도, 멍청하기 짝이 없는 동아일보를 볼 때라도 그건 마찬가지다. 왜냐하면 나는 조선일보가 어떤 방식으로 거짓말을 하는지, 중앙일보가 어떤 측면에서 사악한지, 동아일보의 뇌구조가 어떻게 뒤틀려 있는지를 알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블로고스피어에서 익명의 블로거가 어떤 식으로 정보를 재단하고 있는지 알게 될 확률은 지극히 낮다. 물론 몇번 그의 글을 읽다보면 자연히 그런 식의 인지는 가능하겠지만, 이 개별 블로거들의 성향을 인지하는데 사용되는 시간의 양은 도대체 어느 정도일까.
언론의 정보를 대체할 만한, 믿을 만한 블로거들의 링크를 사적으로 구축해 나갈 수는 있다. 사실 모든 블로거들이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그렇게 하고 있는 것처럼. 그리고 이렇게 구축된 정보전달의 체계가 굉장히 의미있다는 사실을 부정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이런 식의 체계의 구축은 언론을 대체한다기보다는 보완한다. 언론을 대체할 만큼의 블로거 링크를 상상해 보라. 각 분야에서, 전문적인, 게다가 매일 매일 진행되는 사안에 대해서 정확한 발언을 할 만한 성실성과 시간을 동시에 가진, 블로거들을 확보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그리고 나 자신이 그런 블로거 중에 한 명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상상해 봐도, 그건 지나치게 어려운 일이다. 소위 게시판의 시대에 인터넷 정치논객질이라는 걸 해봐서 아는 말이지만, 그건 무지막지하게 시간을 잡아 먹는 일이다. 외국처럼 인기 블로거가 되는 것만으로도 먹고 살 수 있는 시스템이 있다면 이 문제는 어떤 방식으로든 해결이 될 수 있을 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렇지 못한 상황에서는, 그것 자체가 생업인 기자들을 지나치게 무시해서는 안 된다.
대개의 블로고스피어들은 관리자의 편집에 의존하고 있으며 올블로그의 경우에는 특이하게 블로거들의 추천에 의해 메인 화면이 움직이는 시스템이다. 편집에 의해 움직이는 블로고스피어의 경우, 그것 자체가 언론의 역할을 할 수가 있지만 이 경우 언론의 역할을 하는 것은 블로고스피어 그 자체가 아니라 관리자의 편집기능이다. 다음 블로거뉴스가 그 대표적인 경우라고 볼 수 있겠는데, 이 경우 블로거뉴스가 가능하다는 사실과 블로고스피어의 기능을 혼동해서는 안 된다. 올블로그의 경우는 블로고스피어의 정체성에는 더욱 걸맞다고 볼 수 있겠지만, 당연하게도 그렇기 때문에 언론의 역할에선 더더욱 멀리 떨어져 있다. 올블로그의 메인 화면은 이 블로고스피어에 소속된 블로거들이 현재 무슨 관심사에 집중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이런 것은 우리가 언론에 기대하는 역할은 아니다.
나는 지금 블로고스피어가 언론의 역할을 하지 못한다고 해서 무슨 문제가 있다고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당연히 블로고스피어는 언론과 다르고, 언론이 하지 못하는 어떤 역할을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문제는 블로고스피어가 언론을 대체할 수 있다고 믿는 어떤 순진한 착각이 가져오는 폐해다. 이러한 착각은 저널의 문제를 새로운 대안저널을 통해 극복하려는 노력을 무화시킨다. 즉 조중동이 문제가 있다면 경향이나 한겨레, 정 종이매체가 싫다면 프레시안 등의 인터넷 저널을 통해서 그 대안을 강구해 봐야 하는데, 그러지 못한다면 차라리 새로운 저널이라도 고민해 봐야 하는데, 그러지 못하고 한심한 언론의 수준을 인터넷 여론이 극복하지 못하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훌륭한 저널이 있다면 우리가 인터넷에서 논의할 수 있는 정보의 질도 높아지고 양도 증가할 것이다. 종이신문이 엉터리다, 기자들이 멍청하다고 비판하면서 블로그에서만 안온함을 느끼는 것이 정답은 아니다. 훌륭한 저널을 찾아내서 돈주고 구독하는 것이 그 비판의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길이다. 이 점도 분명히 지적해 둘 필요가 있다.
그런데 이런 종류의 착각은, 순전히 자발적인 것일까? 사실 블로거들의 자뻑에는 별다른 근거가 없다. 블로거 여론이라는 것은 질에서뿐만 아니라 영향력에서도 종이매체에 패배했다. 2007년 대선을 생각해 본다면 분명히 알 수 있는 일이다. 반면 2002년 노무현의 당선은 사실 제로보드의 승리였다는 이상한 모자 님의 평가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실제로 현실세계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했던 게시판 시대에도 없었던 자뻑이 블로그 시대에 갑자기 생겼다는 건, 여러 사람을 블로그로 유인하려는 각 기업의 마케팅 전략과도 연관이 있었던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마저 들게 한다.
http://bloggernews.media.daum.net/news/827770
블로거들의 낚시를 얘기해봤자 기자들도 거짓말쟁이가 아니냐고 반문할 테니 정보의 진실성에 대한 얘기는 하지 않겠다. 다만 어떤 종류의 언론을 보더라도, 그 언론의 지향점에 대한 이해가 있다면, 그 언론을 통해 사회의 많은 부분에 대한 정보를 대단히 정확하게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은 지적되어야 한다. 가령 거짓말쟁이 조선일보라도, 사악한 중앙일보라도, 멍청하기 짝이 없는 동아일보를 볼 때라도 그건 마찬가지다. 왜냐하면 나는 조선일보가 어떤 방식으로 거짓말을 하는지, 중앙일보가 어떤 측면에서 사악한지, 동아일보의 뇌구조가 어떻게 뒤틀려 있는지를 알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블로고스피어에서 익명의 블로거가 어떤 식으로 정보를 재단하고 있는지 알게 될 확률은 지극히 낮다. 물론 몇번 그의 글을 읽다보면 자연히 그런 식의 인지는 가능하겠지만, 이 개별 블로거들의 성향을 인지하는데 사용되는 시간의 양은 도대체 어느 정도일까.
언론의 정보를 대체할 만한, 믿을 만한 블로거들의 링크를 사적으로 구축해 나갈 수는 있다. 사실 모든 블로거들이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그렇게 하고 있는 것처럼. 그리고 이렇게 구축된 정보전달의 체계가 굉장히 의미있다는 사실을 부정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이런 식의 체계의 구축은 언론을 대체한다기보다는 보완한다. 언론을 대체할 만큼의 블로거 링크를 상상해 보라. 각 분야에서, 전문적인, 게다가 매일 매일 진행되는 사안에 대해서 정확한 발언을 할 만한 성실성과 시간을 동시에 가진, 블로거들을 확보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그리고 나 자신이 그런 블로거 중에 한 명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상상해 봐도, 그건 지나치게 어려운 일이다. 소위 게시판의 시대에 인터넷 정치논객질이라는 걸 해봐서 아는 말이지만, 그건 무지막지하게 시간을 잡아 먹는 일이다. 외국처럼 인기 블로거가 되는 것만으로도 먹고 살 수 있는 시스템이 있다면 이 문제는 어떤 방식으로든 해결이 될 수 있을 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렇지 못한 상황에서는, 그것 자체가 생업인 기자들을 지나치게 무시해서는 안 된다.
대개의 블로고스피어들은 관리자의 편집에 의존하고 있으며 올블로그의 경우에는 특이하게 블로거들의 추천에 의해 메인 화면이 움직이는 시스템이다. 편집에 의해 움직이는 블로고스피어의 경우, 그것 자체가 언론의 역할을 할 수가 있지만 이 경우 언론의 역할을 하는 것은 블로고스피어 그 자체가 아니라 관리자의 편집기능이다. 다음 블로거뉴스가 그 대표적인 경우라고 볼 수 있겠는데, 이 경우 블로거뉴스가 가능하다는 사실과 블로고스피어의 기능을 혼동해서는 안 된다. 올블로그의 경우는 블로고스피어의 정체성에는 더욱 걸맞다고 볼 수 있겠지만, 당연하게도 그렇기 때문에 언론의 역할에선 더더욱 멀리 떨어져 있다. 올블로그의 메인 화면은 이 블로고스피어에 소속된 블로거들이 현재 무슨 관심사에 집중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이런 것은 우리가 언론에 기대하는 역할은 아니다.
나는 지금 블로고스피어가 언론의 역할을 하지 못한다고 해서 무슨 문제가 있다고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당연히 블로고스피어는 언론과 다르고, 언론이 하지 못하는 어떤 역할을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문제는 블로고스피어가 언론을 대체할 수 있다고 믿는 어떤 순진한 착각이 가져오는 폐해다. 이러한 착각은 저널의 문제를 새로운 대안저널을 통해 극복하려는 노력을 무화시킨다. 즉 조중동이 문제가 있다면 경향이나 한겨레, 정 종이매체가 싫다면 프레시안 등의 인터넷 저널을 통해서 그 대안을 강구해 봐야 하는데, 그러지 못한다면 차라리 새로운 저널이라도 고민해 봐야 하는데, 그러지 못하고 한심한 언론의 수준을 인터넷 여론이 극복하지 못하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훌륭한 저널이 있다면 우리가 인터넷에서 논의할 수 있는 정보의 질도 높아지고 양도 증가할 것이다. 종이신문이 엉터리다, 기자들이 멍청하다고 비판하면서 블로그에서만 안온함을 느끼는 것이 정답은 아니다. 훌륭한 저널을 찾아내서 돈주고 구독하는 것이 그 비판의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길이다. 이 점도 분명히 지적해 둘 필요가 있다.
그런데 이런 종류의 착각은, 순전히 자발적인 것일까? 사실 블로거들의 자뻑에는 별다른 근거가 없다. 블로거 여론이라는 것은 질에서뿐만 아니라 영향력에서도 종이매체에 패배했다. 2007년 대선을 생각해 본다면 분명히 알 수 있는 일이다. 반면 2002년 노무현의 당선은 사실 제로보드의 승리였다는 이상한 모자 님의 평가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실제로 현실세계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했던 게시판 시대에도 없었던 자뻑이 블로그 시대에 갑자기 생겼다는 건, 여러 사람을 블로그로 유인하려는 각 기업의 마케팅 전략과도 연관이 있었던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마저 들게 한다.
http://bloggernews.media.daum.net/news/8277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