親朴 "리스트 미리 정해놨다면 밀실공천"
親李는 "정치적 음모 같다" 일축 분위기
한나라당이 이른바 '현역 의원 물갈이 명단'(본보 18일자 1면)을 두고 뒤숭숭해지고 있다. 4ㆍ9 총선 공천 심사가 한창 진행 중인 가운데 나온 사실상의 '살생부'가 분위기를 흉흉하게 만들고 있는 것이다.
여기다 당 윤리위원회가 2006년 이후 징계했던 당내 인사 50여명의 명단을 공천심사위원회에 주고 공천 배제를 요청한 것도 물갈이 논란을 재차 확산시키고 있다.
이명박 당선인 측 핵심 관계자가 현역 의원 30명 물갈이 명단을 작성했다는 보도가 나온 18일엔 당 안팎 분위기가 하루종일 어수선했다. 무엇보다 명단에 누가 포함됐는지 파악하려는 시도가 빗발쳤다.
의원이 직접 "내가 포함 됐느냐. 명단을 구해 볼 수 없느냐"고 문의하는 것은 물론, 보좌관들도 자기 의원이 포함됐는지 파악하기 위해 동분서주했다.
친(親)박근혜 측 인사들은 일부 상기된 표정도 보였다. 한 친박 핵심 인사는 "만약 물갈이 명단을 먼저 정해 놓고 공천을 진행하거나 살생부라는 것이 정말로 있다면 이는 밀실 공천의 증거"라며 "물갈이란 공정한 공천 기준을 먼저 정하고 그 기준에 따라 친이, 친박 가릴 것 없이 원칙대로 하면 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당선인 측이 물갈이를 명분으로 교묘하게 친박 인사 죽이기를 한다면 문제가 클 것"이라는 경계도 나왔다. 그러나 상황을 지켜는 보되 당장 문제를 삼지는 않겠다는 태도다. 실제 공천 진행 상황을 두고 보자는 것이다.
반면 친이명박 측 인사들은 살생부 존재 자체를 일축했다. 한 친이 의원은 "살생부가 있다는 주장에 정치적 음모가 있는 것 아니냐"며 "물갈이 비율을 먼저 정해 놓고 공천을 하는 것이 말이 되느냐"고 반문했다. 누군가 허위로 명단을 만든 것 아니냐는 의심도 했다.
공천 칼을 쥐고 있는 공심위 측 관계자들도 물갈이 명단은 말이 안 된다는 반응이었다. 한발 더 나아가 그런 명단을 작성하거나 유포한 사람이 있다면 찾아내 해당행위자로 징계하겠다는 방침도 밝혔다.
이와 관련, 안강민 공심위원장은 "교체율 몇 퍼센트 이런 것은 정해진 것이 전혀 없다. 정하고 할 수는 없는 것 아니냐"며 "당선 가능성과 개혁 공천이라는 기준이 있으니 거기에 맞으면 공천을 하는 것이고 아니면 바꾸는 것"이라고 말했다.
안 위원장은 이어 당 윤리위가 50여명의 윤리위 징계명단을 제출한 것에 대해서는 "(공천 심사에) 반영될 만한 것은 할 수 있지 않겠느냐. 다만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고 참고 사항"이라고 말했다.
한편 공심위는 이날 경기 일부와 인천 지역에 대한 심사를 끝으로 수도권에 대한 면접 심사를 마쳤다.
정녹용 기자 ltrees@hk.co.kr
親李는 "정치적 음모 같다" 일축 분위기
한나라당이 이른바 '현역 의원 물갈이 명단'(본보 18일자 1면)을 두고 뒤숭숭해지고 있다. 4ㆍ9 총선 공천 심사가 한창 진행 중인 가운데 나온 사실상의 '살생부'가 분위기를 흉흉하게 만들고 있는 것이다.
여기다 당 윤리위원회가 2006년 이후 징계했던 당내 인사 50여명의 명단을 공천심사위원회에 주고 공천 배제를 요청한 것도 물갈이 논란을 재차 확산시키고 있다.
이명박 당선인 측 핵심 관계자가 현역 의원 30명 물갈이 명단을 작성했다는 보도가 나온 18일엔 당 안팎 분위기가 하루종일 어수선했다. 무엇보다 명단에 누가 포함됐는지 파악하려는 시도가 빗발쳤다.
의원이 직접 "내가 포함 됐느냐. 명단을 구해 볼 수 없느냐"고 문의하는 것은 물론, 보좌관들도 자기 의원이 포함됐는지 파악하기 위해 동분서주했다.
친(親)박근혜 측 인사들은 일부 상기된 표정도 보였다. 한 친박 핵심 인사는 "만약 물갈이 명단을 먼저 정해 놓고 공천을 진행하거나 살생부라는 것이 정말로 있다면 이는 밀실 공천의 증거"라며 "물갈이란 공정한 공천 기준을 먼저 정하고 그 기준에 따라 친이, 친박 가릴 것 없이 원칙대로 하면 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당선인 측이 물갈이를 명분으로 교묘하게 친박 인사 죽이기를 한다면 문제가 클 것"이라는 경계도 나왔다. 그러나 상황을 지켜는 보되 당장 문제를 삼지는 않겠다는 태도다. 실제 공천 진행 상황을 두고 보자는 것이다.
반면 친이명박 측 인사들은 살생부 존재 자체를 일축했다. 한 친이 의원은 "살생부가 있다는 주장에 정치적 음모가 있는 것 아니냐"며 "물갈이 비율을 먼저 정해 놓고 공천을 하는 것이 말이 되느냐"고 반문했다. 누군가 허위로 명단을 만든 것 아니냐는 의심도 했다.
공천 칼을 쥐고 있는 공심위 측 관계자들도 물갈이 명단은 말이 안 된다는 반응이었다. 한발 더 나아가 그런 명단을 작성하거나 유포한 사람이 있다면 찾아내 해당행위자로 징계하겠다는 방침도 밝혔다.
이와 관련, 안강민 공심위원장은 "교체율 몇 퍼센트 이런 것은 정해진 것이 전혀 없다. 정하고 할 수는 없는 것 아니냐"며 "당선 가능성과 개혁 공천이라는 기준이 있으니 거기에 맞으면 공천을 하는 것이고 아니면 바꾸는 것"이라고 말했다.
안 위원장은 이어 당 윤리위가 50여명의 윤리위 징계명단을 제출한 것에 대해서는 "(공천 심사에) 반영될 만한 것은 할 수 있지 않겠느냐. 다만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고 참고 사항"이라고 말했다.
한편 공심위는 이날 경기 일부와 인천 지역에 대한 심사를 끝으로 수도권에 대한 면접 심사를 마쳤다.
정녹용 기자 ltrees@hk.co.kr
ⓒ 한국아이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아이닷컴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