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삼성그룹 비자금 의혹 등을 수사하고 있는 조준웅 특별검사팀이 이학수 삼성전자 부회장 소환조사를 계기로 전방위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특검팀은 15일 이건희 회장 일가의 과세내역 자료를 국세청에서 넘겨받아 분석 작업에 착수했다. 이 회장 일가의 부동산 거래내역과 스톡옵션 자료 등 이번 영장청구에서 일부 기각된 부분은 다시 영장을 청구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특검팀은 전날 이 부회장을 상대로 삼성 관련 의혹 전반을 예비 조사했다. 특검팀 관계자는 “특검 수사의 전반적인 문제에 이 부회장이 연관돼 있는 정황을 포착했다.”면서 “그 부분들을 예비 조사했고, 앞으로도 이 부회장을 몇 차례 더 소환조사해야 하기 때문에 조서는 작성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특검팀은 이 부회장뿐 아니라 다른 피고발인도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한다는 방침이다. 때문에 경영권 불법승계 의혹과 관련된 고소고발 사건들의 피고발인인 이건희 회장 부자의 소환도 곧 피의자 조사를 의미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전날 이 부회장의 출석은 기습적으로 이뤄졌다. 삼성그룹 전략기획실 쪽은 물론 일부 특검 관계자도 이 부회장이 서울 한남동 특검 사무실에 나타날 때까지 소환사실을 알지 못했다. 임원 소환 일정을 조율하는 이완수 변호사조차 출석 직전에 연락을 받고 이 부회장을 데리러 갔을 정도였다.
수사대상을 나눠 맡고 있는 특검보 3명이 4시간 남짓 이 부회장을 조사했으며, 조 특검은 이 부회장을 만나 삼성 측이 수사에 비협조적인 태도를 보이는 데 대해 엄중히 경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부회장의 갑작스런 출석은 삼성 방어전략의 전환을 뜻한다는 해석도 있다. 그동안 삼성 쪽은 사전에 증거를 인멸하고 압수수색에서도 비협조적인 태도를 보였다. 하지만 특검팀이 이 회장 일가의 재정 상태를 적나라하게 파악할 수 있는 과세자료까지 확보하자 삼성 쪽도 더 이상 소극적 기피만으로는 사태를 해결할 수 없다고 판단, 정면돌파 전략을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삼성의 핵심 수뇌부 일부만이 이 부회장의 특검 출석 사실을 알고 있었던 점으로 미뤄 이 회장이 직접 출석을 지시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 부회장은 2003∼2004년 불법대선자금 수사 당시 불법정치자금을 제공한 혐의로 기소되면서 이 회장과는 무관하게 본인이 직접 저지른 일이라고 진술했다. 이번 수사에서도 이 부회장이 이 회장의 지시 또는 관련성을 부인해 ‘꼬리’를 자를지에 관심이 쏠리는 대목이다.
한편 특검팀은 이날 경영권 불법 승계 의혹과 관련, 삼성SDS 신주인수권부사채(BW) 저가발행 사건의 피고발인인 김종환 전 삼성SDS 전무이사를 불러 조사했다. 안정삼 삼성전기 상무도 이틀 만에 다시 불러 차명계좌 관련 정황을 캐물었다. 또 삼성증권 수서 전산센터의 전산자료 압수수색을 닷새째, 삼성전자 수원 본사의 압수수색을 이틀째 이어갔다.
홍지민 유지혜 장형우기자
wisepen@seoul.co.kr
“맛있는 정보! 신선한 뉴스!”
-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ec&sid1=102&sid2=257&oid=081&aid=0001940396
특검팀은 15일 이건희 회장 일가의 과세내역 자료를 국세청에서 넘겨받아 분석 작업에 착수했다. 이 회장 일가의 부동산 거래내역과 스톡옵션 자료 등 이번 영장청구에서 일부 기각된 부분은 다시 영장을 청구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특검팀은 전날 이 부회장을 상대로 삼성 관련 의혹 전반을 예비 조사했다. 특검팀 관계자는 “특검 수사의 전반적인 문제에 이 부회장이 연관돼 있는 정황을 포착했다.”면서 “그 부분들을 예비 조사했고, 앞으로도 이 부회장을 몇 차례 더 소환조사해야 하기 때문에 조서는 작성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특검팀은 이 부회장뿐 아니라 다른 피고발인도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한다는 방침이다. 때문에 경영권 불법승계 의혹과 관련된 고소고발 사건들의 피고발인인 이건희 회장 부자의 소환도 곧 피의자 조사를 의미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전날 이 부회장의 출석은 기습적으로 이뤄졌다. 삼성그룹 전략기획실 쪽은 물론 일부 특검 관계자도 이 부회장이 서울 한남동 특검 사무실에 나타날 때까지 소환사실을 알지 못했다. 임원 소환 일정을 조율하는 이완수 변호사조차 출석 직전에 연락을 받고 이 부회장을 데리러 갔을 정도였다.
수사대상을 나눠 맡고 있는 특검보 3명이 4시간 남짓 이 부회장을 조사했으며, 조 특검은 이 부회장을 만나 삼성 측이 수사에 비협조적인 태도를 보이는 데 대해 엄중히 경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부회장의 갑작스런 출석은 삼성 방어전략의 전환을 뜻한다는 해석도 있다. 그동안 삼성 쪽은 사전에 증거를 인멸하고 압수수색에서도 비협조적인 태도를 보였다. 하지만 특검팀이 이 회장 일가의 재정 상태를 적나라하게 파악할 수 있는 과세자료까지 확보하자 삼성 쪽도 더 이상 소극적 기피만으로는 사태를 해결할 수 없다고 판단, 정면돌파 전략을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삼성의 핵심 수뇌부 일부만이 이 부회장의 특검 출석 사실을 알고 있었던 점으로 미뤄 이 회장이 직접 출석을 지시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 부회장은 2003∼2004년 불법대선자금 수사 당시 불법정치자금을 제공한 혐의로 기소되면서 이 회장과는 무관하게 본인이 직접 저지른 일이라고 진술했다. 이번 수사에서도 이 부회장이 이 회장의 지시 또는 관련성을 부인해 ‘꼬리’를 자를지에 관심이 쏠리는 대목이다.
한편 특검팀은 이날 경영권 불법 승계 의혹과 관련, 삼성SDS 신주인수권부사채(BW) 저가발행 사건의 피고발인인 김종환 전 삼성SDS 전무이사를 불러 조사했다. 안정삼 삼성전기 상무도 이틀 만에 다시 불러 차명계좌 관련 정황을 캐물었다. 또 삼성증권 수서 전산센터의 전산자료 압수수색을 닷새째, 삼성전자 수원 본사의 압수수색을 이틀째 이어갔다.
홍지민 유지혜 장형우기자
wisepen@seoul.co.kr
“맛있는 정보! 신선한 뉴스!”
-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ec&sid1=102&sid2=257&oid=081&aid=0001940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