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은 해운경력 15년 현장 (부산항만에 근무)에 종사하는 사람입니다.
중국 청도에서 신발공장에서 2년, 서울의 한 포워더 (복합화물주선업체) 에서 3년 ,
외국계선사에서 8년 , 그리고 다시 포워더에서 지금까지.. 근무한 경험으로 말씀드립니다.
한반도 대운하라고는 하지 않겠습니다. 호남운하,북한쪽운하는 현실성이 전혀없습니다.
경부운하부분만 이야기 하겠습니다.
건설쪽 전공자는 아니지만, 우리나라 토목기술로 봐서 2 개의 강을 조령터널로 연결시키고
물을 가둬 수심을 유지하고, 준설하는 어려움을 없을 걸로 보입니다.
순수히 물류 부분만 말씀드리면, 경부운하 쓸 화주는 극소수에 불과할껍니다.
이유
1. 속도
물류라는 것은 정시성과 신속성 ,저비용을 추구 해야합니다. 게다가 안정성까지.
경부운하 찬성측은 30~35시간. 반대측은 50~75 시간.. 중간부분을 찾으면 45~48쯤 되는군요.
즉 이틀입니다. 외국계선사에 근무시 저는 많은 수입화주들을 만나보았습니다.
그때 당시 부산에서 인천으로 가는 부인선 이라는 피더선을 한진해운이라는 곳에서 운영했었지요.
20FT 기준으로 육송이 60만원대 운송료, 철송은 20만원대 , 해상피더또한 20만원대,
확률로 따지면 1000건당 1건도 안되는 화주들이 해상피더를 이용했습니다. 나머지 화주들은 왜 육송트럭보다 1/3이나 저렴한데 이용하지 않을까요? 첫번째 이유는 느리다는 것입니다.
두번째는 이후 설명할 운송단계의 복잡성에서 설명드리기로 하고.
미국에서 오렌지나, 중국에서 신발을 20FT에 가득실어 수입을 하면 , 배에서 내리자마자 바로 수입자에게 가는것이 아닙니다. 그전에 선결조건이 있지요.
B/L (선하증권) 수취여부, 대금결재의 여부, 선박운임의 여부. 수입통관의 여부, 검역물일 경우, 겸역합격의 여부등, 부두에서 하역후 여러재반상황이 완료되어야 물건을 찾을수 있는데. 여기서에
짧게는 하루 길게는 보름이상이 가기도 하지요..
그렇다고 선박회사나 부두는 서비스로 그 CNTR를 부두에 보관시키주는것이 아닙니다.
보관료및 사용료를 받습니다. 그러기에 모든것이 해결되는 즉시 대부분이 빠른육송을 통해 수송을 하는것지요.. 해상바지로 먼저 태우고 천천히 가면서 제반사항 해결하는 시간도 벌고 보관료도 아끼지 않는냐는 반론이 있을지 모르겠으나.. 선하증권과 화물수취인도증 (D/O) 판례상 . 해결되지 않는 물건을 반출 (보세구역을 벗어나거나 2차 운송수단으로 바뀌는 것은) 불법행위입니다.
2.운송단계의 복잡성
바지선 과거 부인성경험으로 봐서 비용은 육송보다 싸게 보입니다. 겉으로는 말이지요.
자 지금부터 비교해볼까요.. 수원공단의 냄비공장입니다.
냄비 3천개 20FT 하나에 실고 부산항구까지 달리는 과정을 봅시당.
육송.
A. 화주가 지정한 운송사는 선사로 부터 공컨테이너를 공급받아, 화주공장으로 갑니다
B. 공장에서 공컨테이너에 냄비를 집어넣고
C.트럭기사는 항구까지 바로 내달리면 됩니다. 수원에서 부산까지 길게잡아 6시간..토탈 운임 60만원.
운하바지선
A. 화주가 지정한 운송사는 선사로 부터 공컨테이너를 공급받아, (CY에서 공장까지는 바지선이 없심 육송).
B. 공컨테이너에 냄비를 집어넣고
C. 운송트럭은 부산으로 가는게 아니라, 가까운, 운하화물기지로 감.. 가까운 시내 운임으로 해서
(12만원선)
D.운하화물기지에서 다시 바지선에 태움 (하역료 발생)-- 통상바지운임에 포함시킴..
E.바지선으로 부산을숙도종착기지에 도착 - D항 포함시키고 이후 트럭에 다시 실어주는 하역료 보함해서 대략 싸게 쳐서 25만원 (실고내리는 비용 8만원. 바지운임 17만원책정)
F. 을숙도 기지에서 부산북항 신선대부두까지 운송료 시내요율 싸게쳐서 10만원..
싸게 아주 싸게 측정한 가격이 47만원 .
자 비교해서 6시간 60만원 , 48시간 47만원. 육송: 트럭기사한테 전화한통이면 목적지 변경및 긴급사항 대체및 리턴가능.. 해송: 한번 바지태우면 48시간뒤 2차 조치가능..
선적기간및 운하구간문제발생시 클레임..
3.기존철도및 해상바지부활이 훨 수월
KTX 대구-부산간철도가 2010년 완공되면 기존 철도는 화물철도에 80 %이상을 투입시킬수 있심.
경부운하구간과 별다른 차이 없심.. 굳이 운하를 한다면 비용은 조금 더들지만 신속한 철송이
나음. 유지보수비용및 설비증가만 하면됨.. 운하걸설 15~20조 안듬..
바지선좋아하면 연안바지 부활시키면 됨....
4. 기타
기타 교량재건설, 수질오염, 환경변화로 생기게 될 생태계변화 등이 예상.
얼마전 신항만건설시 용원일대 에서 벌어진 일을 상기해보면
A.해상준설토로 매립: 여름철 파리떼 온 마을 덮음
B.방역실시로 1차 파리막음.
C.파리가 지나가 가을에 물깔따구떼 온마을 덮음.. 밤에 물을 못켬
D.또다시 새로운 방역연구.
E.물깔따구떼 를 잡아먹을려는 거미들이 온마을 거미줄을 침.
F.그 거미를 잡아먹기 위해 제비떼 마을 습격
E.제비가 싼똥으로 쓰레트지붕및 철구조물 산화.
이로 인해 엄청난 방역비와. 주민들 건강악화로 엄청난 사회적 비용발생.
-- 판단하시라... 20FT 하나당 12만원 아낄려고 . 몇십조 투자해서 온 국토 뒤집는게 좋은지
그돈으로 복지국가및 중국으로 간 공장 북한지역에 재투자가 나은지. 철도로 부산에서 시베리아를 거쳐 유럽까지 가는 철의 실크로도 루트 개발이 우선인지..
아고라 꺼꾸로가는님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