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의료보험] 의료보험 민영화 이후 하루 병원비 50만원

알 수 없는 사용자 2008. 2. 9. 18:10

의보 민영화 이후를 예상해 봅니다 이는 현재 미국의 현실을

그대로 조금의 가감없이 적용해 보는 겁니다


의료보험 가입


현대 의료보험 알리안츠 의료보험 동부 의료보험 등등

각 보험회사중 하나를 택일하여 가입 합니다


참고로' 민영화 이후로는 의료비가 세금에서 지원이 않되고

각 보험사들은 수익을 올리는 민간 기업입니다 고로 보험료는

병원비+기업이익= 이 됩니다


당신이 갑자기 가슴에 통증을 느껴 병원을 가게되면 먼저

가입한 의료보험 회사와 계약한 병원을 찾아야 됩니다

근처에 좋은 병원이 있더라도 갈수 없습니다


당신이 계약한 보험회사와 계약한 병원이 다른 구 또는 다른시에 있다면

거기까지 가거나 아니면 유료 엠브란스(119또한 유료가 됩니다)를 이용합니다


병원에 도착하여 진료를 받기전에 당신은 병원에서

자신이 계약한 보험사의 약관을 살펴보고 보장범위에 속하는지

꼼꼼히 질문을 받게 됩니다

가입 약관에 보장범위에 포함되지않은 질병은 무보험 처리됩니다

(미국의 무보장 질병 목록은 무려 A4용지 2페이지 분량입니다)


다행히 적용을 받을수 있다면 진료를 시작하게 됩니다

이때 진료가 끝나고 병원비를 계산할때

40%정도의 (미국경우) 비용을 보험사가 책임지고 60%정도의 자가부담을 합니다

(현재는 63% 수준)


물론 이는 초진비용이고 나머지 약값과 주사비는 다릅니다

통상 미국에는 보험가입자의 1회 자기부담 병원비가 50만원 정도 합니다


그런데 당신의 병이 중하여 입원을 하게 되면

입원비의 청구에 당신의 입원비 특약에 따라 추가 비용을 내거나

특약가입이 없다면 전액 지불을 해야 합니다


종합병원 1일 입원비는 40만원 정도 합니다


그런데 당신이 입원특약에 가입한적이 없고 병원비도 모자르다구요?


병원측은 당신을 택시에 태우고 근처 가까운 보건소에 가서 내려놓고 사라집니다

당신이 생사의 기로에 있든 말던 말이죠.....


미국의 의료 체제현실 다큐멘터리 <------클릭


그럼 보험료는 얼마나 할까요?


보통 감기의 경우 지금은 초진 1만원 주사포함 2~3만원 합니다

처방전에 의한 약값도 5천원 이내이죠


보험이 63%적용 이니 원래의 병원비는 대략  2만5천원~10만원 정도이지요

약값까지 3만~11만원?


민간보험 적용하면 1만8천에서 5만원 정도이겠군요


그럼 보험료는 얼마나 할까요?


현재는 매년 세금으로 의보의 손실분을 지원합니다

대략 전체의 60%를 지원하지요


그럼 당신이 의료보험료를 4인 가정 4만원을 낸다고 할때

10만원이 됩니다 거기다 민간기업이니 이익을 내야 하니까

약 20%의 경비+이익을 더하면 12만원입니다


물론 인건비등 경비를 더 계산하고 싶지만 일단 최소한으로 잡고 말이죠

(보험사가 매우 양심적이란 전제하에...)


더 문제는 사업체에 가입한 직장 의료보험인데....

직장에서 여러분에 대한 의무 보험가입에

입원비 특약,골절특약,암특약,화상특약..........등등을 들어줄까요?


위의 링크에 가보시면 아시겠지만

미국인들은 오늘도 병원비가 비싸서

치료를 위해 캐나다나 심지어 쿠바까지 이동하여 다른나라에서

치료를 받습니다


여러분은 물론 감기따위로 이젠 더이상 병원에 갈 능력이 않되겠지만

건강검진이라도 제대로 받을 능력이 될까요?


감기를 제외하고 일반질병시 1회 병원 이용시마다 50만원이 드는데...

어쩌시렵니까?


지금 이명박과 인수위는 의보 민영화를 강행하고

기업들을 군침을 흘리면서 참여의사를 밝히고 있습니다


언론이요?


오늘자 동아일보 사설은

"이제는 국민들이 솔선수범하여 희생할때" 랍니다............


아고라 진호님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