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경부대운하파면 안개때문에 이렇게 70중 추돌사고납니다.

알 수 없는 사용자 2008. 2. 9. 11:43

 [ 미국 플로리다주의 한 고속도로에서 차량 70여 대가 연쇄 추돌사고를 내 적어도 3명이 숨지고 30여 명이 다쳤습니다.

 유조트럭이 짙은 안개 속에 전복되면서 폭발을 일으킨 뒤, 다른 차량들도 이를 피하지 못해 10여 곳에서 충돌사고가 났습니다.

 http://cafe252.daum.net/_c21_/bbs_search_read?grpid=15j9t&fldid=FmqI&contentval=002AVzzzzzzzzzzzzzzzzzzzzzzzzz&nenc=VrbLfmNrANagSHIG3c4_jA00&dataid=8339&fenc=decb9-TVreo0&docid=CDcAwWx6&from=tot&q=%C7%C3%B7%CE%B8%AE%B4%D9%C1%D6

  이 사고로 올랜도와 템파를 잇는 고속도로 24킬로미터 구간이 완전 폐쇄됐습니다.]


   한국에서도 서해대교서 짙은 안개때문에 39중 추돌사고를 보셧을 것입니다.

서해대교 주변이 어떤한가요? 한마디로 온통 깊고도 넓은  물입니다.

 경부대운하 구간이 온통 그러할것입니다.


 경부대운하 내에서는 배들이

대부분 강변과  강옆으로 도로가  나있는 우리나라에서는 이런일들이 비일비재할것이며

보통 골치아픈 문제가 아닐것입니다.


 안개가 상습적으로 일면 사고가 아니래도 차량이나 배는 기어가듯해야합니다.

님들도 갑자기만난 안개속에 눈앞이 도통 보이지를않아 거의 기어가듯 차량을 운전해보신 경험이 많을것입니다.

문제는 이런 안개가 이전까지 안보였는데 갑자기 나타난다는 점입니다.

이런곳을 잘 관찰해보면 강변이거나 습지이거나 습기가많은 지형이거나를 금시 알수있을것입니다.

워낙에 짙은 안개는 자동차 전조등을 켜도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

빛이 짙은 안개속을 얼마 뚤코 가지를 못합니다.

경부대운하는 운송에 도움을 주는게 아니고 여러 방해요인을 제공하지않나 싶네요.


 경부대운하는 깊이나 너비  지하로 깊이들어가는곳고 지상으로 돌출된곳. 배가 다니면서 스쿠루가 물을 뒤척인다는점. 이 모두로  수많은 안개발생요인에 딱 좋은 장소입니다.

(일반적으로 안개는 가을등 새벽에 대기온도는 물의 노점온도이하로 몹시낮은데 주변의 대기보다 상당이 따뜻한 수온의 물이 다량 존재할때 거의 폭팔적으로 안개가 일어납니다.경부대운하처럼 상당한 깊이와 너비 그리고 상당한 깊이의 지하는 주위 대기온도보다 따뜻한 수온을 간직하기에 딱 좋은 장소입니다. 물의 참 희한한 특성중하나가 다른 어떤 여타 물질보다 잘 데워지지도 않으며 잘 식지도 않는다는 점입니다. 운하정도의 깊고 넓고 많은물은 낮동안 내내 데워진물이 새벽까지 온도가 가는것입니다. 여기에 지하쪽으로 깊숙히 들어간 운하라면 더더욱 새벽까지 수온의 온도보존이 잘되어 이 부분은 말할것도 없습니다. 새벽에 운하는 주전자에서 물 끌듯 안개를 무성이 무참이 발생시킬것입니다.  여기에 배가 지나다니면서 스쿠루로 물을 뒤집혀주니 오즉 안개발생이 많을까요?)


 정말 이렇게 큰 문제이고 대 재앙이될것이 뻔한 안개발생문제가 아직까지 왜 경부대운하문제에 있어서 거론되지 않았는지 참 답답할 노릇입니다.


 도로에서도  단순한 교통사고도 도로를 오랫동안 정체시켜버립니다.

더우기 연쇠추돌사고같은 큰 교통사고는 도로를 거의 마비시켜버립니다.

더우기  사상자와 재산피해는 물론 그렇치 않아도 비싼 자동차보험료는 가일층 올라갈것입니다.


 운하에서 배가 안개때문에 언덕에 박거나 서로 충돌하여 침몰하면

비좁은 운하에서는 배를 건져낼 크레인이 오기도 정말 난감할것입니다.

온다해도 그 속도는 몇날 몇일이걸리는 너무나 늦고요.

생각해보십시요.

  운하가 비좁은데다 배를 들어올릴정도의 크레인이면 굉장이 큰 크레인이어야하는데

 크레인이 운하를 올수있겟으며 다리밑이나 터널을 엄청난 크기의 크레인이 통과할수 있을까요?

   이리되면 운하는 현지서 배의 해체될때까지 도로의 교통사고는 저리가라할만큼

       장장기간 정체될것입니다.

육지의 크레인은 그렇게 큰 크레인도 없을뿐아니라 존재한다하여도 운하까지 배를 들어올릴만한 장소까지 언제나 도로가 건설될수 있을까요?


이런 크레인이 경부운하  수많은 관문과 댐...다리및이나 터널을 통과할수 있을까요?


그 비좁은 수로에서.

운하에도 차선이 있고 배가 차량처럼 자유자제로 차선을 따라갈수 있습니까?

배는 둥둥 떠다닌거 아니요?

바람불면 바람따라  또 물결따라 떠내려가는게 배고요.


기차는 선로만 따라가면되고.

차량은 그래도 차선이 있어서 짙은 안개속에서도 차선만 잘 따라가면 사고는 피할수있다고 하지요.


 더우기 이 침몰된배가 홍수에 떼굴떼굴 굴러가 다리밑이나 이런곳에 걸려서 다리밑을 빠른 물살이 파버리고 교각을 땅에서 떠 버리게하고  홍수를 일으킨다고 생각해 보십시요.


경부대운하는 우리가 아직 가늠도 못할 상상도할수없는 수많은 문제를 내포하고 있을것입니다.


적어도 이러한 초대형공사를 섣불리 그것도 4년이란(사실상 준비기간빼면 3년) 단시간에 절대로 건설하는게 아닙니다.


 이러한 공사는 장장시간에 걸쳐서(40~100년) 일부구간을 시험삼아 건설해보고

여러 나타나는 상황을 관찰해보고 단계적으로  순차적으로  모든 설계도를 100번이고 1000번이고 수정해가면서 조금씩 조금씩 진척시켜나가야 된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일례로 소련의 시베리아에 한강이나 낙동강보다 수천배 큰강을 댐을막아 막대한 전기를 생산하려했으나

시베리아지역의 생태계를 완전 망쳐버리고 변환시켜버린다는점에서

과거 소련은 이를 취하하였습니다.

http://bbs1.agora.media.daum.net/gaia/do/debate/read?bbsId=D115&articleId=144111










현재글 경부운하정도의 배는 차량이나 기차보다 연료량 훨씬더듭니다. [34] 이신나 325 5258


수십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이를 거들떠 보지도 않고있습니다.

소련이 우리보다 뭐가 부족해서 이렇게 할까요?











아고라 이신나님 글